https://youtu.be/oEAC9zKnuhk?list=PLcaQc6eQjXCxFhrsFWWemTkxAWwAmbxzi (공부 영상)
part.1
기획서 작성 중 의사 전달을 위해서 배워볼까해서 튜토리얼을 참고하며 기록합니다.
A를 누를 시 뷰 포트안에 모든 오브젝트를 선택, A+Alt를 누를 시 해제 가능
투시가 없는 뷰 확인 용 (축마다 확인 가능), 휠 클릭 후 이동 시 중앙 기준으로 회전 가능 (빠르게 가능)
우측 손바닥을 누르고 마우스 이동 시 뷰포트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다. (Shift+Alt 시 같은 기능)
우측 돋보기 누르고 위 아래로 마우스 이동 시 선택 오브젝트 기준 축소 확대 가능 (휠 업, 다운 시 같은 기능)
뷰 포트를 투시 투영과 직교 투영으로 전환하는 기능 (넘버 패드 5까지 단축키 존재)
*투시 투영(Perspective projection)은 우리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, 멀리 있는 물체는 작게, 가까이 있는 물체는 크게 보이는 효과를 줍니다. 현실감 있는 3D 장면을 표현하기에 적합합니다.
*직교 투영(Orthographic projection)은 물체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며, 평행선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투영합니다. 즉, 거리에 관계없이 물체의 크기가 동일하게 보입니다. 건축 도면이나 기술 도면처럼 정확한 비율과 치수를 표현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.
해당 아이콘 클릭 및 넘버 패드 0 누를 시 현재 설정해둔 카메라 렌즈 기준에서 오브젝트를 볼 수 있습니다. (넘버 패드 0)
*추가
넘버 패드 1,3,7,9 축에 따른 직교 뷰포트로 변경하는 단축키
넘버 패드 4,8,6,2 경우 카메라 회전 조정 단축키
기준이 될 물체를 선택 View - Frame Selected 할 시 카메라 회전 기준이 변경됨 (넘버 패드 .)
part.2
크기 전환 시 마우스 <-> 상태에서 우클릭 시 나오는 뷰 설정
수직 분할 (Vertical Split)
수평 분할 (Horizontal Split)
작업 중 실수로 해당 창을 지워버릴 시 이미지에 활성화된 버튼을 눌러서 같이 다시 생성 가능
Join 기능은 현재 방향을 설정하여 합쳐지는 기능으로 변경됨
Ctrl+Space 시 해당 선택한 뷰포트가 전체화면으로 변경됨 (다시 한번 누를 시 해제)
퀵 메뉴 (T 단축키)
마우스 퀵 메뉴 (Shift+Space 단축키) - 더 유용할 듯
뷰포트 우측 < 를 누를 시 선택된 오브젝트의 속성 값이 표시됨 (N 단축키)
Shift + 우클릭 시 오브젝트의 회전이 되는 기준점 이동 가능
Shift + S 누르고 시 3D 커서에 대한 메뉴가 나오며 N 속성 값에서 View 탭 메뉴에서도 변경 가능하다.
이미지에 선택되어 있는 Cursor to World Origin 값을 선택할 시 기존 값으로 되돌아 간다.
마우스에 대한 정보
최종 이미지 렌더링 설정
출력 - 파일 저장 위치등 출력 내보내기 시 설정하는 값
우측 위 렌더링 미리 보기 기능
렌더링 시 월드(배경) 값을 설정하는 곳
오브젝트 속성 값
값 체크 시 렌더링 뷰포트에서 투평하게 처리 됨
수정자(Modifier) 오브젝트의 형태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.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도 다양한 효과를 적용할 수 있어 비파괴적인 작업 방식을 가능하게 합니다.
오브젝트 제약 조건(Object Constraint) 탭
오브젝트 제약 조건은 오브젝트의 위치, 회전, 크기 등을 다른 오브젝트나 특정 조건에 따라 제한하는 기능입니다. 애니메이션 작업이나 복잡한 움직임을 구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오브젝트 데이터 속성(Object Data Properties) 탭
선택한 오브젝트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속성을 설정하고 편집
part.3
이동 | 회전 | 크기 | |
단축키 | G | R | S |
X,Y,Z 축 이동 시 | G + 각 축에 해당하는 X,Y,Z 키 입력 | ||
숫자 입력 후 Enter 시 해당하는 값 변경 가능 |
X | O | O |
변경 시 방법 | 변경 후 클릭할 시 변경, 오른쪽 or ESC 누를 시 변경 취소 가능 Ctrl + Z 시 되돌리기 |
단축키 I - 키프레임 추가
ㄴ다음 키프레임에서 변경 후 I 를 눌러서 설정을 한번 더 해야함
ㄴ하지만, 이런 번거러움을 위한 기능인 Auto Keying이 있습니다.
단축키 X - 누를 시 삭제 가능
단축키 Shift + A - 빠르게 뷰포트에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방법
로케이션 값들을 키 프레임으로 변경할려면 해당 값을 변경해야합니다.
part.4
뉴 씬 단축키 Ctrl + N
타임 라인, 도프 시트, 그래프 편집기
타임라인
키 프레임을 이동하려면 단축키 G
누를 시 시작와 끝을 설정 후 반복 재생 가능 (보통 자세한 프레임 수정이 필요할 시 사용)
한번 더 누를 시 복구 휠 클릭 시 타임라인 이동 가능
Ctrl+Home 시 시작 프레임으로 이동 End 시에는 종료 프레임 설정
Shift+D 시 키프레임 복제
아래 마커 네임 F2로 설정 가능
part. 5 이후 기록은 하지 않겠습니다. 간단한거나 직접하며 숙달해야하는 부분 시 시간이 좀 더 걸려 기록을 생략할 예정입니다.
'게임 기획 글 (기획서X)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언리얼엔진 5 Enemy AI (3) (2) | 2024.10.18 |
---|---|
언리얼엔진 5 Enemy AI (2) (0) | 2024.10.11 |
언리얼엔진 5 Enemy AI (1) (5) | 2024.10.06 |
[NDC 정리] 스킬 네트워크 (0) | 2024.07.17 |
[NDC 정리] 창조적 전문가 vs 평범한 전문가 (0) | 2024.07.17 |